2014년 2월 22일 토요일

리눅스(우분투) 등의 한글키 및 한자키 활성화



리눅스를 초기에 영문용으로 설치를 하게 되면
한영키나 한자키가 잘 안되는 경우가 있다.
그럴때 실행하면 된다.

# setkeycodes 72 122
//한영키

# setkeycodes 71 123
//한자키

그리고 ibus-hangul 등에서 한영 전환키가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나는 입력이 되었다...ㅇㅅㅇ
한글과 한자를 올바르게 입력하려면
ibus 마지막 탭에서 시스템 키보드를 사용을 체크한다.

xev

KeyRelease event, serial 41, synthetic NO, window 0x2800001,
    root 0x165, subw 0x0, time 2740682, (-486,632), root:(277,767),
    state 0x10, keycode 130 (keysym 0xff31, Hangul), same_screen YES,
    XLookupString gives 0 bytes:
    XFilterEvent returns: False

KeyPress event, serial 41, synthetic NO, window 0x2800001,
    root 0x165, subw 0x0, time 2745594, (-486,632), root:(277,767),
    state 0x10, keycode 131 (keysym 0xff34, Hangul_Hanja), same_screen YES,
    XLookupString gives 0 bytes:
    XmbLookupString gives 0 bytes:
    XFilterEvent returns: False

확인이 된다.. 끝..

키코드를 정해주면 더 편하다.
xmodmap –e “keycode xxx = Hangul_Hanja”

xmodmap –e “keycode xxx = Hangul”

echo "keycode xxx = Meta_R" > ~/.Xmodmap


아니면  Xmodmap 파일을 수정해 주도록 한다.
keycode xxx = Hangul
keycode xxx = Hangul_Hanja

알트키와 같이 눌린다면 아래를 실행한다.
xmodmap -e 'remove mod1 = Hangul'
아니면 아예..아래같이 하등가~~
echo "remove mod1 = Hangul" > ~/.Xmodmap

댓글 없음:

댓글 쓰기